본문 바로가기

개포동 이야기

호랑거미 네트웍의 후덜덜한 풍경들



 www.tsori.net


호랑거미 네트웍의 후덜덜한 풍경들
-호랑거미의 무시무시한 포식 흔적-




Signos grabados al agua fuerte del otoño en la ciudad

- Para apple blossom maduración temporada -




"지구별에 

우리와 함께 살고있는

참 아름다운 녀석!..."


녀석의 이름은 호랑거미다. 도시의 한켠에 인터넷 네트웍 만큼이나 기막힌 거미줄을 공사해 놓고 한여름을 지낸다. 호랑거미는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미목 호랑거미과에 속하는 (대형)거미 중 하나로 알려졌다. 녀석과 겉모습이 비슷한 무당거미 때문에 혼돈할 수 있지만, 무당거미는 호랑거미 보다 훨씬 크고 복잡한 거미줄을 치며, 거미줄은 눈에 잘 띄는 노란색을 띄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8일, 도시의 한 오래된 아파트단지 곁 초등학교 울타리에서 녀석을 처음 만난 후, 녀석의 정체를 찾아 관련 이미지를 뒤적거려 가며 비교해 봤다. 그러나 자주 접하지 못한 녀석의 겉 모습만으로 쉽게 판단할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하게 닮아있었다. 하지만 그건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다. 뷰파인더를 통해 나타난 녀석의 생김새는 너무 아름다웠다. 곤충학자들이 특정 곤충에 대해 심취하는 이유를 단박에 알 것 같은 느낌이랄까. 





녀석은 허공에 거미줄을 쳐 놓고 걸려들 먹이를 기다리고 있었는 데 생김새와 달리 주변에 널린 먹이들을 보니 무시무시한 녀석이었다. 걸려든 먹이들을 보니 파리와 매미 유충 등 벌레들이 체액을 다 뽑힌 채 빈껍데기만 남아 바람에 대롱대롱 흔들리고 있었다. 이틀 후 다시 그 자리로 가 보니 녀석은 스파이더맨은 흉내 조차 못 낼 정도로 성큼성큼  가느다란 거미줄 위를 오가고 있었다. 그 장면들은 이랬다.


호랑거미의 무시무시한 포식 흔적



호랑거미를 맨처음 만났을 때 모습이다.
녀석은 한 초등학교 울타리를 이용해 거미줄을 쳐 두었다.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녀석이었으므로
녀석의 켵에서 꽤 오랫동안 지켜봤다.
긴 다리에 알록달록 생긴 무늬 때문에 호랑거미라고 불렀을까.
가느다란 발끝이 거미줄 한 쪽을 딛고 있는 게 신기할 정도.
몸통의 색깔은 또 얼마나 아름다운지...




그러나 그건 한 인간의 생각일 뿐, 

호랑거미의 네트웍에 걸려든 녀석들에겐 치명적이다.
눈에 잘 띄지도 않는 투명한 네트웍 위로 날아가는 순간 딱 걸려들고 만다.
그때부터 아무리 발버둥 쳐봤자 만사가 허사!...ㅜ




동물의 세계나 곤충의 세계 등
생물들이 사는 세상은 
약육강식의 법칙이 철저히 지켜지고 있는 살아있는 현장이다.




거미가 생존을 위한 네트웍을 형성하고 있는동안 
인간들은 무기를 만들어 사고 팔며 동족 살상에 혈안이 돼 있고 
음모와 술수를 통해 참사를 유발시키고 있었다.
인간들의 사악한 욕망이 만들어낸 정치가 그런 모습들이었다.




그에 비하면 동물들과 곤충들의 세상은 착한것일까.




녀석들은 오로지 먹고 사는 욕구에만 매달려 한 철을 보내고 있는 것.

그러나 따지고 보면 욕구와 욕망이 가져다 주는 결과물은 동일했다.
먹고 먹히는 기막힌 세상...




한 초등학교 담벼락에서 서성이며 
호랑거미를 예의 주시하고 있었지만 
행인들은 관심도 없다.
(거미가 밥을 먹여줘...돈을 줘...흥~)




...하지만 

이 세상이 '인간들만의 차지'라고 말하면 

또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8월 20일,다시 찾아가 본 호랑거미의 삶의 터전




언제인가부터 

도시의 한켠에서 살아가는 미물들을 통해 

생명이 무엇인지 뼈저리게 느끼게 되고 

새삼스럽게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세상은 거시적인 것만 있는 게 아니라 

미시적 세계가 토양의 바탕을 이루고 있었던 것.

잊고 살거나 잃어버린 생명의 현상들을 통해 

삶의 가치를 더욱 소중하게 느끼게 된다.





인간이 가진 시력 2.0에 과학을 더하면 

허블 망원경을 통해 코스모스를 관찰할 수 있을 지 모른다.

그러나 그건 인간의 능력 밖의 일 아닌가.





조물주가 인간의 가청주파수를 

16~20,000헤르쯔(hertz (Hz),음파, 교류 등의 상태 또는 사이클 변화)로 

제한해 둔 것도 우연한 일이 아니었다.





태양계의 한 축을 이루는 지구별은 

시속 10만 킬로미터의 상상 밖의 속도로 

태양 주변을 도는 데 

그 소리를 청각으로 인지하는 순간 

어떻게 되겠는가...!





다행히도 우리는 그 소리를 듣지 않아도 되는, 지구별 속에 갇힌 영장류의 한 생물이다. 호랑거미와 우리는 서로 모습을 달리하고 있었지만 똑같은 환경 속에서 하루하루를 연명하고 산다. 호랑거미 네트웍의 후덜덜한 풍경이나 인간들이 사는 후줄근한 삶의 모습이 별로 다르지 않아 보인다. 그건...

생물들이 살아있을 때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일 뿐이지.아마도...!





호랑거미의 생태는 거미줄을 치는 거미중에서 거의 원형에 가까운 거미줄을 치는 것으로 얄려졌다. 녀석은 항상 거미줄의 가운데에 있으며 지면을 바라보며 매달려 있다. 이 때 앞 뒤 두 쌍의 다리를 곧게 펴서 X자 모양을 이룬다. 녀석은 다리의 위치에 맞게 거미줄에 X자 모양의 띠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이 띠의 역할은 자신의 모습을 숨기는 용도로 생각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고 한다.  




녀석은 거미줄에 있는동안 공격적이며, 먹이가 그물에 걸리면 즉시 다가와 물어뜯고 먹이를 실로 감아 거미줄 가운데로 옮겨서 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험을 느끼면 거미줄을 앞뒤로 흔들어 위협하기도 한단다. 수컷은 성숙하면 암컷이 있는 곳으로 온다. 암컷의 거미줄 끝에 살짝 발을 들여 암컷의 눈치를 살피고 나서 거미줄에 들어가 짝짓기를 한다. 암컷은 알을 실로 감싸서 알집을 만들고 거미줄 한 쪽에 매달아 놓는다. 참 신비로운 녀석이다. 유체는 가을에 부화하고 실을 사용하여 날아간다고 한다. 녀석의 새끼들이 곧 어디론가 사라질 시기에 조우한 것이다. 호랑거미는 1년살이어서 성충은 가을까지 살다가 죽게 된다.



내가 꿈꾸는 그곳의PhotОтправить сообщение для Марта с помощью ICQ 이야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