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빛나는 밤을 본 적 있는가.
그냥 빛나는 게 아니라
찬란하게 빛나는 별밤을 본 적 있는가. Tweet
그곳에는 무수한 별들이 생몰을 거듭하며 반짝이는 각축장과 다름없는 모습이다. 그 별들은 바다 한가운데 또는 산골짜기에 드러누워 올려다 보면 마치 금방이라도 쏟아져 내릴 것 같다. 그리고 그들 가운데서 노오란 꼬리를 길게 늘어뜨리며 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별똥별이라고 불리우는 유성이다. 별똥별은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돌입하여 밝은 빛줄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별똥별은 지구 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과는 다른 것이다. 우리가 별똥별이라 이름붙인 유성의 정체는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돌가루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유성이 되는 유성체는 대부분 굵은 모래알 정도로 작은 것들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옛사람들은 별똥별에 대해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과 같은 운명체로 봤다. 우리 모두의 운명은 '별자리'와 관계가 있고 천운이 다하면 그 별이 지는 모습을 별똥별에 비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참 낭만적인 옛사람들이다. 그래서 그럴까. 인간들이 공동체를 이루고 사는 세상에는 유독 스타(별)에 집착하는 무리들이 있었다. 무리중에서 뛰어난 사람을 스타라 부르기도 하고, 군에서 지휘 서열을 매길 때 별자리는 최고급 지휘관의 표시를 나타내기도 한다. 천안함 침몰사건 재판에 앞서 천안함 침몰원인 등에 대해 대략 살펴보고 있는 이 포스트에서는 후자의 경우가 해당된다.
별에 관련된 이야기는 무수히도 많다. 사랑하는 사람을 향해 사랑의 증표로 '별을 따다 그대 가슴에 안겨주고 싶다'는 아름다운 노랫말이 있는가 하면, 당신에 대한 '그리움을 더할 때 마다 밤하늘의 별이 진다'라는 재밌는 CF 카피도 있다. 그러나 이 포스트에 등장할 별자리들은 무시무시한 비하인드 스토리를 간직하고 있다. 충신과 간신배들이 남기고 간 묘비명 내지 역사를 되돌아 보고있는 것이다. 우선 조선의 충신 임경업 장군의 정체성을 살펴보면 이렇다.
때여,때는 다시 오지않나니(時呼時來否再來)
한번 태어나서 한 번 죽는 것이 바로 여기에 있도다(一生一死都在筵)
장부 한 평생 나라에 바친 마음(平生丈夫報國心)
석자 추련도를 십 년 동안 갈고 갈았도다(三尺秋蓮磨十年)
위 글은임경업 장군의 업적 등을 기리기 위해 지은 충렬사 유물전시관 속에, 임경업 장군이 썼던 추련도(秋蓮刀)에 새겨넣은 글의 내용이다. 그 칼 배의 양면에는 28자에 달하는 한시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는데, 그것을 풀어쓴 글이며 추련이란 가을 연꽃으로 다른 연꽃이 피지 않을 때 의연하게 핀 꽃을 말한다. 즉 지조가 있는 대장부라는 말이다. 추련도에 새겨진 한시만 봐도 임경업 장군의 남다른 국가관을 단박에 알아볼 수 있는 내용이 아닌가 싶다. 충신의 모습이다. 그러나 임경업 장군은 수 많은 업적을 남기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에 길이 남은 간신배 김자점이 꾸민 역모에 의해 목숨을 잃게 된다. 간신배 김자점과 동시대를 함께 살다가 겪은 불행한 모습이다.
이런 운명을 예고한 게 천안함 침몰원인을 조사하던 친정부 합조단과 군 당국의 별자리들이었을까. 우선 그들이 누구인지 천안함 침몰사건 재판에서 <쟁점별 증인 명단>에 등장한 명단을 통해 알아봤다. 친정부 민군합동조사단 대변인 문병옥 준장(해사 35기)이다. 그는 인간들이 채취하기에는 불가능에 가까운 별 하나를 따다 어께에 달고 있었다. 그런데 <천안함 피격사건>이라는 백서를 발간한 그해 8월, 문병옥은 준장에서 소장으로 진급했다. 별 하나를 더 땃다. 남들이 따 보려고 용을 써도 힘든 별 하나를 추가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