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 나와 우리덜/나와 우리덜

강아지도 가을 타는 것일까?

SensitiveMedia  

갓 밭으로 간 강아지 오누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강아지 오누이는 갓 밭에서 가을 햇살을 받으며 외출에 나섰다.
녀석들은 갓 밭에서 갓과 함께 섞여있는 풀꽃에 코를 부비며 생각에 잠기는듯 했다.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일까?



개의 후각은 이미 정평이 나 있을 정도로 대단히 발달해 있다.
강아지를 길러 보신분들은 잘 아는 일이지만
녀석들은 주인이 보이지 않는 장소에 있어도 주인이 자신과 어느정도 거리에 있는지 알아차릴 수 있다.
물론 도시속 온갖 잡동사니 냄새는 녀석들의 후각을 교란시키기도 하겠지만
그들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후각으로 자신들이 선택한 사냥감을 추격하여 목적을 달성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녀석들은 코 속 깊은곳에 냄새를 감지하는 후상피의 표면적이
 인간에 비해 50~60배에 달하고
 후각 세포도 인간의 약 44배에 달하여
 개의 후각은 인간의 약 1000~1억 배 정도 더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니
가히 '후각의 제왕'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다.
따라서 강아지라 한들 그 능력을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존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서 녀석들은 낮선 개들을 만나 인사를 나눌 때
손 대신 코를 킁킁 거리는데
인간들의 시각으로 보면 민망하기 짝이없다.
신체의 여러부위 중에서 하필이면 엉덩이에 코를 대고 킁킁 거리는 것이다.

인간들은 그런 행위를 보며 인간들 입장에서 그들을 판단하면 곤란하다.
그 행위는 명함이 없는 그들이 명함을 주고받는 행위와 다르지 않다.

"안녕하세요?...킁킁...어제 저녁 무얼 드셨나요?"

"아...네...킁킁...아침에 된장국을 드셨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녀석들은 마치 인간들이 명함을 주고 받으며 자신의 정체를 밝히는 것과 같이
상대의 엉덩이 냄새를 맡으며 상대를 파악하는데
이런 행위는 항문 가까이에 있는 항문선으로부터 분출되는 분비물이
 개들마다 각양각색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봉천동에서 오신 흰강쥐 시군요...킁킁..."

"...그렇군요. 말죽거리에서 오셨네요?...킁킁..."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들의 이러한 습성 때문에 정작 당황하는 쪽은 인간들이다.
녀석들은 처음보는 사람의 사타구니 쪽으로 접근하여 킁킁 거리며 상대 파악을 하고자 하는데
이럴 때 '뭐하는 짓이야' 하고 발길질을 한다는 등의 행위는
강아지만도 못한 행위로 취급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들은 대략 1만 2천년쯤 부터 인간들과 동거하기 시작하면서 변함없이 해 오던 습관이며
인간들이 그들의 명함을 새겨주지 않는한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며
설령 최신식 명함을 새겨주어도 여전히 킁킁 거리며
사타구니나 엉덩이 쪽에 대고 인사를 나눌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들은 그렇게 인사를 나누며 상대가 된장국을 즐기는지
아니면 쇠고기 덩어리를 즐기는지 즉석에서 판단한다.

 자신의 능력이 상대보다 뛰어나다고 판단하면
상대가 코를 킁킁 거릴 때 엉덩이를 비틀지 않고 가만히 있지만
상대가 자신 보다 우월하다고 느끼는 즉시 꼬리를 내려 엉덩이를 살짝 감춘다.

"...저...삼성엘쥐의 강부장 입니다..."

"...아...네...저는...구식현대...양대리 거덩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이런 행위는 늘 똑같이 반복되는 게 아니다.
자신의 정체를 노출시키지 않은 채 상대를 파악하려고 할 때는
두마리 모두 서로의 주변을 빙빙 돌며 탐색전을 하기도 한다.
모습만 달랐지 사람들과 별 다를 바 없는 녀석들이다.

그런데 녀석들이 정말 놀라운 것은 후각의 또 다른 기능이다.
갓 밭으로 간 강쥐 오누이가 풀꽃에 코를 부비는 행위를 통하여
녀석들은 이미 맛을 다 본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빠...맛있어?...)

인간들은 음식맛을 보기 위해 손가락이나 숟가락 등을 사용하며
똥인지 된장인지 찍어 보고 혓바닥으로 맛을 봐야 음식맛을 알지만
녀석들은 음식이 풍기는 냄새에 따라 음식의 선호도를 구별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이 배설해 놓은 똥을 향해 달려든다고 똥개라고 부를 게 아니라
인간의 배설물은 여전히 그들에게 매혹적인 음식이기 때문에
그들과 함께 신석기 때 부터 동거한 불편한 진실을 인정해야 한다.

인간이 개들과 다른면을 구별한다는 것은 참 구차한 일이다.
우리 인간들의 후각은 강아지만도 못하지만
녀석들 보다 뛰어난 미각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녀석들도 미각은 없는 게 아니지만
섬세하고 복잡한 맛의 차이를 감별하는 데는 인간들이 최고다.
만약 개들이 미각까지 인간들 보다 뛰어나다면
지구상에서 멸종한 다수의 동물들 처럼 늑대과의 개들은 사라졌을지도 모른다.

맛있는 것만 골라먹으려는 식도락 때문에
인간들이 일찌감치 그들을 멀리했을지 모르기 때문이며
그들은 사사건건 입맛 타령을 하며
짱돌 사냥에 나선 원시 인간들을 귀찮게 했을 게 틀림없었다.

하지만 녀석들이 인간들을 따르기로 결정한 이후로 그런 불상사는 없었다.
포유동물의 새끼들은 젖먹이 때 길러준 인간 또는 다른 동물을
 자신의 어미로 여기는 습성이 있다.

가끔 '세상에 이런 일이' 등지에 소개되는 모습이 그렇다.
고양이가 개에게 젖을 물리는 장면 등이 그러하고
쫄랑거리는 강쥐 때 부터 안아 기른 주인은 평생 부모가 되기도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게 녀석들은 착각을 하고 살지만
그 부모들은 냉혹하여 원시 습관을 버리지 못한 주인의 살을 찌우는 한편
동네 아주머니의 엉덩이에 코를 킁킁거린 죄목으로
 나쁜녀석 취급 받으며 쫒겨나기도 한다.
운명이다.

인간들의 습성은 그렇게 잔인하지만도 않다.
가끔 아이를 키우는 집에서 갓난 아이가 자지러지게 울 때가 있는데
그때 엄마는 자신이 낳은 새끼가 너무 귀여워 적당히 깨물었던 것이다.
녀석들을 보면 그런 생각이 절로 든다.

귀여우면 그만이지 깨무는 습관 까지
인간들은 강아지 행위를 닮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빠...그만 집으로 돌아가자...)

그러나 가을 햇살이 따갑게 내리쬘 때  
쫄랑거리며 갓 밭으로 간 강아지 오누이의 표정은 평소와 달랐다.
녀석들은 까마득히 오래전
그들의 선조들이 물려준 후각 속 평원을 그리워 하는 듯 했다.

몇 분 정도 먼저 세상에 태어난 오빠 곁에서
 눈을 지그시 감고 동감을 표하고 있는 여동생도 가을이 깊었음을 느끼는듯 하다.
녀석들이 바라 본 갓 잎에서 쌉살한 맛이 베어 나오고 있었는데
나는 줄곧 녀석들의 표정을 살피며
 가을이 가져다 준 심란함에 빠졌을 것이라고 착각하고 있었다.

베스트 블로거기자
Boramirang 


SensitiveMedi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