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품 넘치는 역사적 소나무 길 신음
-양복입고 갓 쓴 '세계문화유산' 가는 길-
풍족하면 귀한 것을 모르는 법일까.
풍족하면 귀한 것을 모르는 법일까.

귀품이 절절 흐르는 노송이 서 있는 곳은, 유네스코로부터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정조대왕의 얼이 깃든 수원 화성으로 가는 길목의 소나무 길. 세계문화유산으로 가는 길이다. 노송이 줄지어 선 길은 200여년 전 조선의 정조대왕이 아버지 사도세자 능행차길에 조성한 소나무 숲 길이다. 수원의 북쪽 관문에 위치한 이 노송지대는 정조대왕이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 현륭원의 식목관에게 내탕금(왕의 사비) 1천냥을 하사해 능행차 길목에 소나무 500그루와 수양버들 40그루를 심은 것이 군락을 이루게 됐다고 전하는 역사적인 소나무 길이다.
1973년 7월, 137그루가 경기도지방기념물 19호로 지정됐으나, 현재 남아있는 소나무는 불과 37그루 정도라고 한다. 주변의 무분별한 개발과 늘어난 차량통행으로 인한 매연으로 소나무숲이 사라지고 있었던 것이며, 그와 동시에 역사적인 숲이 자취를 감추어 있었던 것이다. 참 안타까운 일이었다. 그동안 수원시는 소나무 길 주변에 어린 후계목 500여그루를 심었지만, 예전의 모습을 되찾는 데는 실패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품종과 수령, 서식환경이 비슷한 노송을 선별해 옮겨 심는 쪽으로 전략을 바꿨다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그같은 전략 조차 실패할 공산이 커 보인다. 그동안 해 왔던 일이 사후약방문식 처방이었기 때문이자, 고사 소나무의 원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등 이유 때문이다. 정조대왕 당시 또는 근.현대를 지나는 동안, 이 길은 주로 우마차가 통행했거나 차량의 통행이 뜸했으며, 6.25동란을 겪는 동안 전쟁의 상흔을 고스란히 간직했을 터.
1973년 7월, 137그루가 경기도지방기념물 19호로 지정됐으나, 현재 남아있는 소나무는 불과 37그루 정도라고 한다. 주변의 무분별한 개발과 늘어난 차량통행으로 인한 매연으로 소나무숲이 사라지고 있었던 것이며, 그와 동시에 역사적인 숲이 자취를 감추어 있었던 것이다. 참 안타까운 일이었다. 그동안 수원시는 소나무 길 주변에 어린 후계목 500여그루를 심었지만, 예전의 모습을 되찾는 데는 실패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품종과 수령, 서식환경이 비슷한 노송을 선별해 옮겨 심는 쪽으로 전략을 바꿨다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그같은 전략 조차 실패할 공산이 커 보인다. 그동안 해 왔던 일이 사후약방문식 처방이었기 때문이자, 고사 소나무의 원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등 이유 때문이다. 정조대왕 당시 또는 근.현대를 지나는 동안, 이 길은 주로 우마차가 통행했거나 차량의 통행이 뜸했으며, 6.25동란을 겪는 동안 전쟁의 상흔을 고스란히 간직했을 터.


반응형
'PHOTO 갤러리 > 도시락-都市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장대의 색다른 야경 환상적 (6) | 2013.03.26 |
---|---|
요즘 보기 힘든 '제비집' 즘골에서 담다 (5) | 2013.03.25 |
세상에 하나 밖에 없는 우체통 (12) | 2013.03.24 |
동서양의 느낌은 달라도 한참 달라 (5) | 2013.03.23 |
못 보면 두고두고 후회 할 최고의 검술 (10) | 201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