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 나와 우리덜/나와 우리덜

청계천 '준천사' 4대강정비사업 모델?

SensitiveMedia  


청계천 '준천사' 4대강정비사업 모델?


이명박대통령이 서울시장 재임시절 유일하게 남긴 업적처럼 보이는 청계천 복원공사는 말도많고 탈도많은 가운데 서울의 각종 행사를 청계천에 유치함으로 말미암아 마치 청계천이 서울의 상징물 처럼 변질되고 있다. 아울러 이명박대통령은 더 말도 많고 더 탈도 많은 4대강정비사업 시행을 서두르고 있는 모습이다. 그가 국민들의 반대속에서도 청계천 복원은 물론 4대강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자신감은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그 실마리를 청계천의 수표교터에서 발견했다. 수표교터 기념비 곁에는 '준천사터'가 동시에 자리잡고 있었다. 준천사는 무엇을 하던 기관인가? 기록을 뒤져봤더니 준천사의 모습은 이랬다. 준천사는 조선 후기 도성 안의 개천(開川:지금의 청계천) 준설과 도성 안의 4개 산의 보호를 담당하던 관청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조선왕조의 한양 천도시 개천은 토사의 퇴적이 심하고, 민간에서 흘러나오는 하수로 불결했으며 여름이 되면 침수가 심했다. 따라서 1411년(태종 11) 개거도감(開渠都監)을 설치하여 하폭을 넓히며 제방을 쌓고 다리를 놓는 등 큰 배수로를 설치했다. 세종 때에는 개천에서 토사와 오물을 쳐냈으며, 개천에 오물을 버리지 않도록 했다. 그러나 도성 안의 주민들은 이를 잘 지키지 않았고, 중앙에서는 개천 치는 일을 소홀히 하여 조선 중기에는 퇴적물과 오물로 개천이 막히고 악취도 매우 심했다. 또한 모래와 자갈이 밀려들어 하상이 높아져 큰 비가 오면 쉽게 범람했다. 그리하여 1760년(영조 36)에 임시로 준천소를 설치해 하천과 교량을 준설·보수했다. 그리고 민호가 하천을 개간함으로써 수로를 막거나, 수로에 둑을 쌓아 막아놓고 그곳을 거주지나 창고로 사용하는 일을 법으로 금지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어 준천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준천사를 정식기구로 설치해 정기적으로 개천을 쳐내어 제방공사를 하게 하고, 도성 안의 백악산(白岳山).인왕산(仁旺山).목멱산(木覓山:지금의 남산).낙산(駱山) 등 네 산의 보호도 맡아보게 했다. 관원으로는 현직 3의정(議政)이 겸하는 도제조 3명과 병조판서.한성부판윤.훈련대장.금위대장.비변사.어영대장이 겸하는 제조 6명, 어영청의 천총이 겸하는 도청 1명, 삼도(三道)의 참군이 겸하는 낭청 3명을 두었다. 1789년(정조 13) 임금이 거둥할 때 한강에 부교(浮橋) 놓는 일과 양호(兩湖)의 조운(漕運) 등을 맡아보는 주교사(舟橋司)를 부설기관으로 설치했다. 1882년 주요업무가 청계천 공사라 하여 한성부에 통합되었다."고 전한다. 이를테면 도랑을 치거나 개천에 제방을 쌓고 다리를 놓는 등의 일을 하던 기관이다. 그러니까 이명박서울시장이 재임하던 시절 그가 남긴 업적은 시장의 업적이라기 보다 준천사로써 남긴 업적이라고 하면 틀리지 않는 말이 아닌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시보다 세월이 200년이 더 흐른지금 사정이 그러하다고 도랑과 개천과 강을 구분하지 못하면 매우 곤란한 일이 따르고 그 때문에 국민들이 나서서 다시는 돌이킬 수 없는 환경파괴와 훼손이 뻔한것이라고 지탄을 하고 있는데 혹, 4대강정비사업의 기초모델을 준천사의 업적에서 따온것은 아닌지 매우 궁금하다. 4대강정비사업을 지원하고 있는 국토해양부나 관련 부처들은 우선 4대강정비사업 모델을 국민들 앞에 내 놓는게 바람직하다. 청계천만 하더라도 준천사의 원래 목적과 많이도 변질된 모습이고 인공적으로 물을 흐르게 만든 인공천으로 변질되었는데 4대강정비사업의 결과는 뻔한 게 아닌가? 최소한 국민들이 크게 반대하는 일은 시행하지 않는 게 나중에도 탈이 없다.

베스트 블로거기자
Boramirang 

 
 
 
MB583 미디어 블로그 - 1인 미디어 연합 MEDIA BLOG
   네이버에서 구독        ※ 마우스를 올려놓고 휠을 사용해 보세요

SensitiveMedi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