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瓦 불교미술'이 있는 금강산 '乾鳳寺' 동면에서 깨어나다.
사람들은 10월의 햇살과 바람을 맞으며 가을이 오고 있음을 실감하며 마음 한구석이 허전함을 느끼며
가는 세월을 안타깝게 여기며 곧 타 오를 단풍을 기대하고 있다.
붉게타는 그 단풍을 바라보며 지나간 생을 반추할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시간도 또한 지금인데
나는 같은 공간에 여러 사람들과 함께 서 있으면서도 이 계절을 보내는 가을의 기운이 아니라 새롬의 기운이 돋는 봄을 느끼고 있었다.
햇살은 따뜻했고 가는 실바람이 가을이라고 말하기엔 너무도 부드러웠고 폐허위로 돋아나는 때 늦은 풀잎들이 내가 서 있는 시간을 증명이라도 해 주는듯
이슬을 뒤집어 쓰거나 매단채 갈 햇살을 온몸으로 받아 들이고 있었다.
주변에는 나무하나 제대로 서 있지 않은 이 폐허 곁에는 몇 안되는 절간이 까만 기와를 머리에 인 채 그 또한 갈 햇살에 파스텔 분을 날리고 있었다.
나는 나를 감싸고 있는 따듯하고 상서로운 기운들이 도대체 어디서 비롯된 것인지 사방을 살피고 있었다.
그러나 내 시야에 들어오는 것은 '불이문'과 '능파교'가 전부였고 막 푸른옷을 벗어 버리려는 고목들의 잎새들 뿐이었다.
www.tsori.net(내가 꿈꾸는 그곳)은 그린토피아에서 '제작지원'하고 있는 'BloggerMedia'입니다.
乾鳳寺에 들어서며... 건봉사 입구에 들어서면 잘 생긴 소나무들이 하늘을 찌를듯 건강하게 서 있습니다. 불이문이라 불리우는 이곳이 유일하게 불에 타지 않았다 합니다. 다른곳과 떨어져 있기도 했지만 언제인가 우리도 이 문을 통과해야 겠지요. 천도의 길은 하나밖에 없다는 뜻일까요?... 버려진 물두멍에 나의 얼굴을 비추어 보았습니다. 능파교를 건너면 대웅전으로 들어설 수 있습니다. 가을을 알리는 들꽃이 너무 소담스럽습니다. 금강산 건봉사의 대웅전 입구 그림입니다. |
古瓦에 새긴 불교미술 아래 작품들은 素雲 김선옥님의 생활불교 작품입니다. '달마'의 살아있는 표정이 압권 입니다. |
素雲 김선옥님이 고기와에 그려 넣은 이 작품들은 기왓장 한장에 그려 넣어진 그림입니다. |
새로운 창건을 위해서 불자들께서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적멸보궁에서 총무스님이 서기를 받으며 대웅전으로 나서는군요.
건봉사 대웅전 앞마당에 펼쳐진 놀이판
살풀이 춤과 고전무용이 사람들의 넋을 빼앗는 가운데...
몰입하고 있는 행사 참여자들...
비보이들의 공연은 최고의 갈채를 받았다.
고요한 산사를 흔들어 놓는...
이 아름다운 행사에 초대하고 또 환대해 주신 건봉사 주지스님이하 총무스님과 행사를 도와주신 여러분들과
이 행사를 주관하신 블로거 온누리님께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乾鳳寺건봉사는
진부령과 거진읍 중간에 위치한 고찰이다. 인적이 뜸해 한적한 고찰이지만 여름이
면 숲이 무성하고 가을이면 단풍이 아름답다. 야트막한 기와담으로 둘러친 건봉사에는 50여
기에 달하는 부도와 탑비가 있다. 원래 건봉사에는 2백개가 넘는 부도와 탑비가 흩어져 있
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많이 분실되었고 이를 더 이상 방관할 수 없어 현위치에 부도전을 조
성하였다.
건봉사는 금강산이 시작되는 초입에 위치해 있어서 특별히 '금강산 건봉사'로 불리우고 있
다. 설악산 신흥사와 백담사, 양양의 낙산사를 말사로 거느렸던 대사찰이었던 건봉사는 법
흥왕 7년(520년)에 신라의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하나 확실치는 않다. 사실 법흥왕 7년이
면 신라가 불교를 공인하기 이전이고 아도화상은 고구려에 불교를 전한 승려이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때는 사명대사가 승병들을 훈련시켰는데, 그들이 공양할 쌀을 씻은 물은 개천을
따라 10리를 넘게 흘러갔다고 한다. 1878년 건봉산에 큰불이 나면서 당시 건봉사의 건물 중
3천칸이 소실되었다. 그 뒤 한국전쟁으로 인해 완전 폐허가 되었고 지금은 단지 절 입구의
불이문만 남아 있다. 건봉사 불이문은 독특하게도 기둥이 4개다. 1920년에 세워졌으며 해강
김규진 선생이 글씨를 썼다.
불이문을 지나면 왼쪽으로 솟대 모양의 돌기둥을 만나게 되는데 높이가 3m로 규모가 꽤 크
며 나무가 아닌 돌로 만들어졌지만 꼭대기에 오리가 앉아 있어 솟대라 할 수도 있겠다. 돌
기둥이 서있는 부분은 널직한 공터로 되어있는데, 과거 건봉사의 번창했던 규모를 짐작케
한다.
이곳 절터와 대웅전 사이 좁은 계곡에는 무지개 모양의 돌다리가 놓여 있다. 능파교라 하는
이 돌다리는 건봉사의 수많은 건물터 중 그나마 형상이 제대로 남아있는 것으로 주위 풍경
과 잘 어우러져 매우 아름답다.
대웅전 앞에도 또한 돌기둥이 서 있는데, 이 돌기둥에는 십바라밀을 형상화한 상징기호가 5
개씩 10개가 새겨져 있다. 십바라밀은 이승의 번뇌를 해탈하여 열반의 세계에 도달하기 위
한 10단계 수행을 말한다.
팔상전은 최근에 새로 지은 것으로 그 앞에는 석종형 부도 2기와 팔각원당형 사리탑과 부도
각비가 하나씩 서 있다.
건봉사 진신사리탑은 임진왜란 당시 왜군이 불사리와 치아사리를 약탈해간 것을 사명대사가
일본에 사신으로 다녀오면서 되찾아온 뒤 세운 것으로 이로부터 석가의 치아사리를 모신 적
멸보궁을 만들게 되었다.<자료:www.goseong.org 고성군청 문화관광과>
http://Boramirang.tistory.com/
'내가 꿈꾸는 그곳'www.tsori.net은
'다녀온 山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편,죽기전에 꼭 봐야 할 2007' 내설악 '공룡능선의 雲海' (11) | 2007.11.02 |
---|---|
'코리아환타지' 애국가 배경 '화려강산'에 가다. (6) | 2007.10.26 |
2006,丙戌年太白山(태백산) (3) | 2007.10.12 |
연분홍 치마...| (3) | 2007.10.09 |
바람의 나라 선자령 (3) | 2007.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