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 나와 우리덜/나와 우리덜

Green food zone 보니 괜히 열나네

SensitiveMedia  


Green food zone 보니 괜히 열나네
-잘 모르면 그냥 고개만 끄덕여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끔 식중독 소식 등 불량식품을 접하고 원인을 살펴보면 어른들이 '먹거리'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겠다는 생각을 하는 동시에 불량식품에 대해 별 거리낌없는 어른들의 행태에 분노를 느끼기도 한다. 특히 군것질을 좋아하는 아이들의 학교 근처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품들 속에서 발견되는 불량식품에 대한 논란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라서 마침내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이라는 희한한 제도가 탄생되었다.

그 내용을 잘 모르는 상인들을 위해(?) 학교앞에 그림과 같은 안내문을 붙여놨는데, 학교주변 반경 200m 이내에서는 어린이의 건강을 위협하는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판매가 제한되거나 또는 금지된다. 식약청은 아이들이 즐겨먹는 떡볶이와 어묵, 탄산음료, 빙과, 사탕 등의 판매 자체가 금지되는 것은 아니라면서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기준 및 대상 식품은 학부모, 학교주변 판매업자, 식품업계, 관계전문가 등의 충분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는데 그 결과가 주목된다.

아울러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내에서 안전하고 위생적인 시설을 갖추고 고열량.저영양 식품을 판매하지 않는 업소는 우수업소로 지정받아 조리기구.진열대.판매시설 개선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식품안전보호구역에는 전담요원이 배치돼 안전한 식품이 판매될 수 있도록 지도와 계몽활동을 벌인다는 소식이다.식약청이 뭘 잘못알고 하는 조치로 보인다.
관련뉴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62913142833401&nvr=y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식약청의 조치는 겉으로 보기엔 그럴듯 해 보이지만 이런 조치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고 최소한 수십년도 더 된 해묵은 조치들이어서 실효성이 의심되는데 당국의 의도처럼 특정 식품의 판매가 금지되는 게 아니라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기준 및 대상 식품에 대해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칠것이라는데 우선 고열량.저영양 식품이 '안전하지 못한 식품'인지 부터 가려야 할 일이고 식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의견수렴 과정을 거친다는 게 무슨 정치판 모습을 보는듯 하다.
 
아울러 영세한 상인들에 의해 주로 판매되고 있는 '불량식품'의 현실은 도외시 한 채 고열량.저영양 식품을 판매하지 않는 업소는 '우수업소로 지정'하여 조리기구.진열대.판매시설 개선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 장면에서는 당국이 현장에 나가 실태조사를 해 보고 한 조치인지 의문이 든다. 식약청이 정한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내에서 장사를 하는 업소들은 조리기구 등 주방시설이 불량하여 불안전한 식품을 만들었던 게 아니라 시쳇말로 '코 묻은 돈'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는 영세한 상인들이 대부분이고 따라서 마땅한 영업장소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업소가 대부분이다. 차라리 그런 노력으로 학부모를 통해 아이들을 계도하며 이런 저런 품목의 식품은 사먹지 말도록 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 아니면 가게를 하나씩 마련해 주던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나 가끔씩 아이들이 좋아하는 떡볶이나 어묵 등을 먹는 모습을 보면 말려야 할지 의문도 든다. 배고픔을 참지 못하는 아이들이 우선 눈 앞에 펼쳐진 음식에 손이가는 한편 집으로 귀가해도 자신이 직접 음식을 차려 먹어야 하는 아이들이 적지않다. 맞벌이를 떠난 부모님들 때문이기도 하다. 또 당국의 조치처럼 학교앞 200m 거리에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을 지정하면 200m 바깥에 있는 업소들은 불량식품이나 안전하지 못한 식품으로 부터 괜찮다는 말인지 납득이 안된다. 물론 이런 상징적인 조치를 통해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불량식품 근절을 위한 노력은 이름도 생소한 'Green food zone'과 같은 간판이나 구호만 내 거는 행위나, 의견수렴 등 직무를 시민들에게 위임하는 듯한 조치를 취할 게 아니라, 당국이 무시로 현장에서 불량식품을 감시하는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학교앞에 걸어둔 간판에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이라고 명시하면 될 것을 굳이 영어로 'Green food zone'이라고 설치해 둔 것만으로 부모된 입장에서 꼴사나워 보인다. 목적어를 한글로 명시하면 어디 덧나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불량한 사고방식은 불량식품 보다 정신건강에 더 나쁜 영향을 미쳐서 'Smoke free zone'이라며 한글과 병행한 표기방법은 나같이 어설픈 영어실력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곧잘 '흡연구역 Smoke free'으로 착각할 만도 하다. <smoke free zone 금연구역 speed free zone 속도제한구역 duty free zone 무관세구역>등과 같이 영어권에서 흔히 쓰는 말을, 혹시라도 원어민교사들이 학교앞 200m 반경내에서 불량식품을 팔까봐 겁이라도 났다는 말인가?

서울 강남의 대모산을 다녀 오면서 본 식약청의 조치 흔적은 그림들과 같다. 다행인지 이들 학교 근처에는 불량식품을 팔 수 있는 가게가 없고 그나마 가까운 곳에 있는 가게에서는 '돈도 안되는' 고열량. 저영양 식품을 판매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까운 수퍼마켙에 가면 고열량.저영양 식품들이 넘쳐난다. 당국이 불량식품 등에 대한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면 우선 원인을 찾아 식재료 부터 차단하는 게 옳아 보인다. 괜히 나처럼 짧은 영어실력으로 학교앞에서 '흡연은 자유'와 같은 착각을 불러 일으키지 않게 말이다.
 
나는 차라리 이런 상황에서는 잘 모르는 영어를 아는체 하기 보다 그저 고개만 끄덕이며 2등만 한다. (으흠?!...아항?!...) 식약청이 불량식품 근절에 나서면서 영어공교육에 몰두하는 모습이다. 식약청인지 교육인적자원분지 뭔지...강남만 이런 모습인가?...(아침부터 괜히 열나네...!)

베스트 블로거기자
Boramirang 


SensitiveMedia

MB583 미디어 블로그 - 1인 미디어 연합 MEDIA BLOG
   네이버에서 구독        ※ 마우스를 올려놓고 휠을 사용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