녀석은 어떻게 살아남은 것일까..?
이틀 전(17일) 지인과 함께 청계산으로 봄나들이를 떠났다가 한 계곡(장소는 숨기기로 한다)에서 도롱뇽알 무리를 발견했다. 골짜기의 작은 소(沼)에서 발견된 녀석들은 소시적 자연의 모습을 단박에 떠올리게 만들었다. 당시만 해도 산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기 전이었으므로 산아래 골짜기 대부분은 녀석들의 서식지였다. 어쩌다 멱감으로 갔다가 녀석을 발견하면 생김새 때문에 별로 반기지 않았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러나 나이가 들고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환경문제가 심각해질 때 녀석의 줏가는 하늘 높은줄 모르며 치솟았다. 녀석의 거처는 1급수가 흐르는 청정지역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녀석이 발견된 청계산의 어느 골짜기 또한 도시 한가운데 위치했지만 크게 오염되지 않은 1급수였을까. 녀석들을 살펴보며 몇 장의 사진과 영상을 남겼다. 이랬지.
영상을 잘 살펴보면 도롱뇽알이 우무로 만든 순대(?)처럼 생긴 걸 알 수 있다. 조금은 징그럽기도 하다. ㅜ
도롱뇽목 또는 유미목(有尾目, Urodela)은 양서류의 한 목이며, 이 목에 속하는 동물들을 도롱뇽(salamander)이라고 한다.
도롱뇽은 대부분 겁이 많고 순해 사람에게 거의 해를 끼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징그럽다는 이유로 싫어한다. 반면에 도롱뇽을 귀여워하며 애완용으로 기르는 사람도 있다. 대표적인 애완용이 엑솔로틀(우파르파라고도 함)이다. 도롱뇽에는 물에서만 사는 것과 거의 땅에서만 사는 것, 물과 땅에서 모두 사는 것이 있다. 땅에서만 사는 것 중에 가장 큰 종은 범무늬도롱뇽이고, 물에서만 사는 것 중 가장 큰 것은 장수도롱뇽이다.
도롱뇽의 일생은 개구리와 같은 타 양서류와 비슷하다. 어미가 초겨울에 연못 바닥에 알을 낳고 이 알이 성장을 시작한다. 어린 새끼 상태에서 도롱뇽은 물 속에서만 살 수 있는 몸 구조를 지닌다. 종에 따라서 새끼 상태에 따라 다리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이 중 어린 도롱뇽은 아가미가 있다. 특수한 종(Plethodon dunni)의 경우 새끼 단계가 없다. 모든 도롱뇽에게서 유형 성숙을 관찰할 수 있다. 보통 도롱뇽들은 변태를 하면서 아가미가 없어지며, 다리가 자라나고(또는 크기가 커지고), 육상에서도 살 수 있는 몸의 구조를 갖게 된다.
Descrizione
Sono animali anfibi, in genere caratterizzati da un aspetto superficialmente simile a quello delle lucertole, corpi sottili, il naso corto, la coda lunga e con zampe corte adatte sia per nuotare che per muoversi sulla terra ferma.[4]
Anche se i Caudati sono anfibi, alcune specie vivono solamente in un ambiente acquatico, mentre alcune, da adulte, vivono solamente sulla terra ferma. Si conoscono casi di Caudatii che mantengono le branchie anche da adulti in particolari casi di neotenia o pedomorfismo.
Caratteristica unica tra i vertebrati è quella di essere in grado di rigenerare gli arti perduti, e anche altre parti del corpo.
Evoluzione
Le origini e le relazioni evolutive tra i tre principali gruppi di anfibi (gimnofioni, urodeli e anuri) sono materia di dibattito scientifico. Uno studio molecolare del 2005, basato sull'analisi del DNA, ha suggerito che la prima divergenza tra questi tre gruppi iniziò poco dopo la diversificazione dai sarcotterigi (pesci dalle pinne lobate) nel Devoniano (circa 360 milioni di anni fa) e prima della frantumazione del supercontinente Pangea. La brevità di questo periodo e la velocità di questa radiazione evolutiva potrebbero essere tra le cause della scaristà di fossili di anfibi vicini all'origine di questi gruppi (tutti inclusi nel gruppo dei Lissamphibia) (San Mauro et al., 2005). Tuttavia, altri studi hanno generalmente indicato un periodo più recente (Carbonifero superiore o Permiano) per la diversificazione dei lissanfibi (San Mauro, 2010; Marjanovic e Laurin, 2007).
Le più antiche salamandre fossili (oltre al dubbio fossile Triassurus, del Triassico) sono Kokartus honorarius del Giurassico medio del Kirghizistan e Marmorerpeton dell'Inghilterra. Questi animali assomigliavano superficialmente a salamandre dal corpo robusto, ma erano sprovviste di alcune caratteristiche anatomiche che si sarebbero sviluppate solo in seguito. Karaurus sharovi, simile a Kokartus, del Giurassico superiore, assomigliava agli attuali rappresentanti del genere Ambystoma e, come questi, probabilmente aveva uno stile di vita fossorio.
I criptobrancoidi (Cryptobranchoidea) e i salamandroidi (Salamandroidea) sono ritenuti essere sister groups. Entrambi questi gruppi sembrerebbero essere apparsi entro la fine del Giurassico, i primi rappresentati da varie forme come Chunerpeton, Pangerpeton, Jeholotriton, Regalerpeton, Liaoxitriton e Iridotriton, i secondi da Beiyanerpeton. Entro la fine del Cretaceo, quasi tutte le attuali famiglie di salamandre erano probabilmente già apparse.[senza fonte]
Tutte le salamandre fossili sono considerate parte dell'ordine Caudata, anche se a volte le specie viventi sono raggruppate negli Urodela (salamandre più evolute). Di seguito è mostrato un cladogramma da Naish (2013):
DA WIKIPEDIA
'다녀온 山들 > 늘 그리운 淸溪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부신 청계산 청계골의 4월 (0) | 2018.04.17 |
---|---|
HAI MAI MANGIARE AKEBIA NATURALE..? (0) | 2017.09.04 |
UN BELL UCELLO (0) | 2017.08.22 |
청계산 어느 쭈꾸미집의 지독한 매운맛 (3) | 2015.06.30 |
청계골의 무명 다리 (0) | 201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