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 갤러리/도시락-都市樂

기상천외한 매미의 우화현장



 www.tsori.net


매미의 우화 현장을 가다
-2부,기상천외한 매미의 우화현장-



"이럴수가!..."


지난 5일 매미의 우화현장을 다녀온 이후 매미의 생태환경이 어떤지 다시금(9일) 현장 부근을 관찰했다. 희한한 일이었다. 매미의 생태에 관해 관심을 가지는 순간부터 지천에 널린 게 매미들이 벗어놓은 우화 모습이었다. 녀석들은 거추장 스러웠을 과거의 흔적을 도시의 한 지역에 벗어던지고 여름 한 철을 나고 있었던 것. 


그런데 먼저 들른 우화현장 근처의 지하철 정류소를 걸어나오다가 발견한 매미의 우화 모습은 기상천외했다. 매미는 보도 옆에서 가느다란 풀 줄기 끄트머리에 의지하여 땅바닥을 응시한 채 우화를 한 것이다. 신기했다. 그로부터 자세히 관찰해 본 우화현장에서는 매미들의 우화 모습이 천편일률적이 아니라, 각자가 처한 환경에서 처지에 가장 적합한 우화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전편 <매미의 우화현장을 가다-1부 매미,도시의 여름을 지배하는 자>에서 잠시 소개해 드린 바, 매미는 유충상태로 약 3년에서 7년동안 유충 상태로 지내는 데 미국의 어떤 매미는 17년동안 유충상태로 지낸다고 한다. 그래서 녀석의 별명은 17년매미라고 부를 정도다. 매미는 대략 7월쯤이면 물 속 혹은 하수구 등지에서 뭍으로 올라와 우화를 하는 데 우화를 하고 3~5일뒤부터 짝짓기를 위해 열심히 울어댄단다. 


그게 한여름밤 혹은 한 낮의 숲 속을 시끄럽게 만드는 매미의 울음소리. 매미들은 그렇게 대략 한 달정도의 짧은 삶을 마감한단다. 한 달을 살기 위해 7년 내지 17년동안 열심히 유충으로 살아온 것. 이걸 어떻게 설명해야 매미들이 덜 억울해 할까...2부에서는 '기상천외한 매미의 우화현장'을 살펴보도록 한다. 아울러 3부에서는 '매미의 최후'를 다루게 될 것이다. 






기상천외한 매미의 우화현장




지난 9일, 필자가 다시 찾아간 곳은 서울 강남의 ㄱ아파트단지. 그곳은 양재대로가 대모산과 아파트단지를 가로질러 생태환경이 많이 훼손된 지역이었다. 도시개발로 거대한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부터 산기슭이 회색도시로 변해버린 곳. 그러나 수 십년의 세월이 흐르는동안 오래된 아파트단지는 점점 더 친환경적(?)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자료사진(지난 7월 6일 대모산 정상 부근 전망대에서 촬영) 아랫부분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ㄱ아파트단지'가 (매미 등)생태환경 관찰지역이며, 왼쪽 아파트단지는 재건축 과정을 밟고 있는 곳이다.

아파트를 지을 때 심어둔 조경수들이 거목으로 변했고 메타쉐콰이어는 아름드리 이상으로 5층 높이 보다 더 크게 자랐다. 뿐만 아니라 왕벚나무 등은 나이를 몰라볼 정도로 성장해 아파트단지 한 공간을 장악하고 있을 정도였다. 도시 개발이 멈추고 수목들이 도시의 환경에 적응하면서부터 이곳은 온통 숲으로 뒤덮여 마치 '마야의 정글'을 닮았다고나 할까. 




사람들이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동안 도시 한켠에서는 동식물과 곤충이 더불어 살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이날은 매미들의 우화과정을 통해 매미의 분포를 알아보기로 하고 매미의 우화 장소가 주로 어떤 곳에서 일어나는 지 알아볼 요량이었다. 




운이 좋았다. 처음 본 우화현장에서 대로를 건너 한 아파트단지의 구릉에 면한 곳부터 살펴보기 시작했는 데 매미는 생각과 달리 왕벚 등의 수액만 빨아먹다가 우화를 하는 게 아니었다. 예컨데 24시 편의점 같은 게 매미세상에도 존재한다는 말인가. 매미는 대로변 아파트단지의 울타리에서 발견되기 시작해 셔터를 누르기 시작한 것이다.




관련 포스트(1부)에서 본 매미의 우화 과정은 주로 왕벚나무 서식지였고 몇 개의 예외가 있었다. 소나무와 은행나무를 우화도구로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매미가 즐겨(?)사용하는 우화도구는 반드시 그런 나무들이 전부가 아니었던 것이다. 대로변 보도에서 울타리를 향해 셔터를 누르고 있는 한 남자를 보는 눈이 등 뒤에서 느껴지기도 했다. (갸우뚱...뭘 하는 걸까.) 자세히 들여다 봐야 눈에 띄는 것.



매미들이 좋아하는 우화 현장





매미가 벗어 둔 옷(?)을 관찰하기 시작하자 
매미는 아무곳에서나 우화를 하는 게 아니었다. 
녀석들은 그들만의 삶의 법칙이 있는 것인 지 
(도시에서 발견된)우화장소는 거의 비슷한 환경이었다.



우화도구는 나무의 수종에 관계없이 대체로 비슷한 장소.




매미가 즐겨찾는 우화 장소는 상대적으로 빛이 밝은 곳이자 소음이 많은 지역이었다.

그러니까 매미의 우화 현장은 주로 대로변 혹은 이면도로의 가로등이 밝은 곳이자,

사람들의 발길과 자동차 소음들이 어우러진 곳이었다.




그런 환경에서 발견된 귀뚜라미를 닮은 녀석(이름을 모르겠다.ㅜ)은 매우 불리한 여건일 것 같기도 했다.

혼자 찌르륵 소리를 내 봤자 짝짓기는 허탕치기 일쑤일 것.ㅋ




그러나 매미들은 달랐다.

일단 울타리 근처에서 낡은 옷을 벗어 던지 직후부터 

대로변의 자동차 소리 보다 더 크게 매암매암매암...매~하고 노래부르고 있는 것.

매미들은 대단히 큰소리로 목청껏(?-매미는 목청으로 우는 게 아닌 거 아시죠? ㅋ) 떠들어 댓다.




그러나 사람들은 매미 소리 따위엔 별 관심이 없었다.





그저 여름 한 철이면 나타났다가 

소음만 일으키고 사라지는 곤충정도로 생각한 것일까.



기상천외한 매미의 우화 현장



이 장면은 매미의 우화 현장에서 만난 백미였다. 

사진 몇 장과 영상을 얻기 위해 보도블럭에 엎드려 촬영한 사진들이다. 

대략 30센티미터 남짓한 풀줄기 끄트머리에서 

매미 한 마리는 영원을 꿈꾸고 있었을까. 

보면 볼수록 신기했다.




누가 도시 한켠 아파트 울타리에서 자란 잡초를 거들떠 볼 것이며, 

누가 그곳에서 매미가 우화할 것이라고 생각할까.





인간들은 바쁘게 산다.

인간들은 욕심이 많다.

인간들은 욕망이 넘친다.




그런데 매미 한 마리의 탄생 과정을 살피고 있노라니 

거의 성자 수준아닌가.

평생을 단 한 벌의 옷에 의지해 살다가 

어느날 한 달의 생애를 끝으로 우리 곁에서 사라지는 것.

아시시의 성프란체스코도 단벌의 옷으로 삶을 마감했다지...




뭐...그렇다고 매미더러 성자라고 할 수 없지만 

녀석들의 우화 현장을 목격하고 있노라니 별 생각이 다 들었다.





곤충계와 영장류...

만물의 영장이라는 21세기의 인간들은 

지구촌 곳곳을 오염시키고 황폐화 시키는 것도 모자라 

동족과 이웃을 함부로 살상하는 무자비한 생물들. 





사람사는 세상에서 '사람이 희망'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갈수록 강퍅해지고 난폭해지며 뻔뻔스럽고 사악해지며 

절망의 노래를 부르고 있는 것.

그게 문명사회라는 곳에선 이미 도가 지나쳐버지 오래다.





그에 비하면 매미나 동물들은 자연에 순응해 잘도 살아가고 있는 것. 녀석들이 우리 곁에서 안 보이거나 여름 한 철 늘 들어오던 소리를 못 듣게 된다면,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환경이 많이 오염된 것으로 생각해야 옳았다. 매미의 생태사이클을 감안하면 매미가 많이 출몰하는 때(해)와 그렇지 못한 때가 있을 것. 녀석들의 번식이 왕성한 생태환경이라면 나무의 나이테처럼 넓은 폭의 생태환경을 유지할 것이다. 그땐 그만큼 우리가 살고있는 도시의 환경이 나아진 게 아닐까.




녀석이 세상에 태어나 

마지막으로 사용한 탈의장(?)은 

담쟁이 덩굴 한 닢...




말라 비틀어진 

빈 가지 하나!...





어떤 녀석들은 자기의 마지막 삶을 위해 소나무 껍질을 타고 오르기도 했다.




또 어떤 녀석들은 

마지막 여행을 

친구들과 동행하는 모습들...




아파트단지 한 블록을 돌아 이번에는 아파트단지 안에서 대로변을 향해 관찰을 시작했다.

이때부터는 전혀 다른 양상의 우화 현장이 목격되기 시작했다.




어느날 매미들이 동시에 휴거(携擧, rapture)를 경험하는 종교의식을 치루었는 지

대로변 아파트단지 안쪽 풀숲에는 매미들이 벗어둔 옷들이 지천에 널려있었다.

왕벚나무도 은행나무도 소나무도 그 어떤 나무들도 아닌, 

어디 몸을 기댈 곳만 있다면 옷을 훌러덩 벗는 우화도구로 사용한 흔적들.

녀석은 아카시 잎사귀에...




또 한 녀석은 씀바귀의 가느다란 잎사귀에 의지해 

자기의 마지막 노래를 부를 꿈을 꾼 것이다. 




그렇다고 매미 유충들이 전부 나지막한 이파리 혹은 

높은 나무 줄기로 올라가 옷을 벗은 건 아니었다.

땅바닥에는 미처 높은 곳으로 오르지 못한 매미 유충들이 

순교자세(?)로 우화를 한 흔적이 공동묘지의 무덤처럼 군데군데 빼곡했다.





매미계에서도 카스트 제도 내지 사회적 계급이 존재하는 지

어떤 녀석들의 우화 현장은 보다 '럭셔리'했다.

우아한 나뭇가지 하나를 붙들고 과거를 벗어던진 것.




녀석은 꽤 높은 곳까지 기어올라 옷을 벗었다.




우화 과정의 결과물은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 데

이들은 경쟁적으로 높은 곳으로 올라간 듯한 고행(?)의 흔적들...




매미들은 취미도 달랐다.

어떤 녀석들은 무조건(?) 높은 곳으로 기어올라갔지만

이녀석들은 왕벚나무 이파리 하나씩 분양을 받은 듯한 모습들.

오른쪽이 대로에 면한 아파트단지의 울타리며 

이곳은 매미 소리가 진동을 하는 곳.

차소리가 매미소리에 묻힐 정도였다.




매미 유충들이 이파리를 분양(?) 받는 방법도 다양했다.

녀석들은 벌레먹은 허름한 이파리 한 개에 의지해 우화를 단행했다.





그러나 가장 우아한(?) 우화 현장은 오후 햇살이 가득한 곳.

왕벚나무 줄기 높은 곳으로 이동한 매미 유충들이었다.





그리고 일반의 예상을 깨뜨릴 

서민(?) 유충들의 기상천외한 우화가 

나지막한 풀숲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경이로운 모습이었다.




풀잎을 지붕삼은 우화 현장.




두 녀석은 이웃이었다.




또 한 녀석은 아슬이슬하게 

풀잎 끄트머리에서 우화를 한 대담한 녀석이다.




그런 반면 보다 소심한 녀석은 나지막한 곳에서 우화를 했다.

맨 땅바닥 보다 조금은 더 나아 보이는 우화 현장.




한녀석은 왕따(?) 유충이었을까.

무리와 조금 떨어진 곳에서 우화를 한 녀석도 눈에 띄었다.





그러나 적지않은 매미 유충들은 무리를 지어 

주로 한 곳에서 우화 의식을 치르고 있었던 것.




매미의 우화 현장을 돌아서는 길에 만난 몇 녀석들은 

측백나뭇잎에 대롱대롱 매달린 채 우화를 한 흔적이 남았다.




매미들의 주요 우화 현장은 대로변이자 소음이 큰 지역이고 산기슭과 가까운 지역이었다.

그곳은 밤이면 가로등불과 자동차 전조등이 즐비한 밝은 곳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의 존재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으며 세상을 살아가고 있었다.
매미는 매미대로 인간은 인간대로...




맺으면서...매미의 우화 현장을 소개해 드리면서 구체적인 장소를 언급하지 않은 점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 어느때인가 북방산개구리 서식지를 소개한 적 있었는 데 얼마지나지 않아 가 보니 개구리알과 성체 모두가 사라진 것을 본 적이 있다. 서울 근교의 산에 서식하는 동식물들이 교육용 또는 몸보신용(?) 등으로 사라지고 있었던 것. 봄이되면 유치원 아이들과 초딩들이 마구잡이로 채취에 나서기도 한다. 정말 말리고 싶다. 

매미의 우화 현장 역시 아이들의 정서를 함양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나 자칫 우화현장이 마구 짓밟힐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신 어른들이 짬을 내 아이들에게 이런 장면들을 찾아내 보여주면 참 좋아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생명을 경시하는 무서운 세상에서 작은 벌레들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면 세상은 얼마나 환해질까.


내가 꿈꾸는 그곳의PhotОтправить сообщение для Марта с помощью ICQ 이야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