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도 사라진 칠흑같이 까만 밤, 정조대왕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
수원 화성의 동장대(연무대) 활터 앞에서 바라보이는 동북공심돈(東北空心墩)의 모습이 묘한 실루엣을 내뿜고 있다. 빛과 그림자 혹은 낮과 밤 그리고 두 얼굴이 번갈아 가며 연상되는 것. 동북공심돈은 동북노대에서 서쪽으로 60보쯤 되는 거리에 위치해 있다. 높이 17척(1척 길이 30.3cm) 5촌(1촌 길이 3.03cm), 바깥 원 둘레 122척, 벽돌로 된 부분의 두께 4척, 안쪽 원 둘레 71척, 내원과 외원 사이에 가운데 4척 5촌의 공간을 비워두고, 2층 덮게판으로 둘렀다. 아래 층 높이 7척 3촌, 가운데 층 높이 6척 5촌인데, 모두 군사들의 몸을 숨길 수 있게 하였다. 바깥 쪽으로 총안을 뚫어서 밝은 빛을 끌어들이는 구실을 겸하게 하였다.
* 낮에 본 동북공심돈. 지난해 9월 수원화성에서 개최된 '생태교통축제'에서 촬영한 자료 사진.
위 구멍은 26개, 아래 구멍은 14개[사방 각각 1척]이다. 위 아래 덮게판 위는 진흙과 회를 섞어 쌓았다. 아래층 공심에서 구불구불한 벽돌 사닥다리를 거쳐 위로 올라가면 윗층에 이르게 되어 있다. 그 규모는 기둥 6개를 세웠는 데 길이 12척이고 너비 10척이며, 단층은 3토를 사용하였다. 평평한 여장을 둘렀는 데 높이 5척, 위 아래에 포혈 23개와 누혈 6개를 뚫어놓았다. 아래 층 안 쪽에는 벽돌로 만든 홍예 모양의 작은 문을 설치하였다. 또 문 동쪽으로 공심을 막아서 온돌 한 간을 지어놓았는데 방안(方眼)을 창으로 삼아 군사들이 출입하게 하였다.
<출처:전국 파워소셜러 수원시(SNS팀) 팸투어 가이드북>
수원 화성, 만추의 낮과 밤
화성축조에 관련된 이같은 기록 등은 축조할 당시 만들어 둔 화성성역의궤에 기록된 것이며, 200 여 년의 세월과 6.25전쟁을 거치면서 결정적으로 훼손된 수원화성을 복원할 때, 기록에 따라 복원함으로써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기에 이른 것. 포스트를 열자마자 따분해 할 수 있는 기록 때문에 단박에 덮어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수원화성의 역사적 사실 등을 알고 나면 우리나라에 결코 흔치않는 보물을 접하고 황송해 할지도 모른다. 최소한 필자('나'라고 한다)에겐 그랬다.
단풍이 아름다운 명소를 소개하면서 역사 이야기가 등장하면 따분해 할 수도 있는 것. 그러나 수원화성을 이야기 할 때 약방의 감초처럼 빼놓을 수 없는 게 있다면 사도세자에 얽힌 비하인드스토리 일 것이다. 정조대왕의 아버지 사도세자(장헌세자)와 사도세자의 아버지 영조대왕으로 이어지는 3대의 모습에서 '아버지의 모습'이 서로 비교되는 것. 권력 한가운데서 벌어지는 부자간의 암투가 빚어낸 산물이 수원화성의 축조 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 가운데 내게 가슴 깊이 다가온 건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고간 영조대왕에 대한 불편한 기억들이었다.
사도세자의 유년기와 나의 유년기
나는 가풍이 엄한 종가에서 태어나고 자라 어릴 적 아부지에 대한 따뜻한 기억들이 별로 없었다. 요즘 신세대들이 쉽게 납득하지 못할 정도로 아부지께선 아이들을 엄하게 기르셨다. 더군다나 칠남매가 우글거리는 집안에서 하루가 멀다하고 이런 저런 일들이 생겨나곤 했다. 그중에 사고(?)를 많이 친 한 녀석이 있었다. 그게 하필이면 나였다. 내가 저지른 사고는 '머피의 법칙'처럼 우연의 연속이었다.
어쩌다 등교길이나 하교길에 돌맹이 하나를 걷어찬 게 (요즘 보기드문)양장점 진열장의 큰 유리를 맞혀 와장창 깨뜨리게 되는 것. 그 즉시 줄행랑을 쳐도 양장점 주인은 어떻게 알았는 지 범인을 정확히 찾아내 대가를 치르게 하는 것. 이런 사고를 친 날이면 친구들과 동네를 배회하다가 해가 뉘엿거리면 쥐 죽은 듯이 아부지의 눈치를 살피며 잠이들곤 했다.
그런 날 잠이 잘 올 리가 없었다. 혹시라도 사고가 들통나기라도 한다면, 그땐 아부지의 불호령과 함께 회초리를 구해 와 종아리를 걷어야 했다. 또 어쩌다 친구들과 멱감으로 가는 길에 꼭꼭 숨어서 복숭아 서리를 해도 집으로 돌아와 보면 북숭아밭 주인과 아부지가 술잔을 나누고 있는 것. 우리는 열심히 도망갔지만 멀찌감치서 뒷모습만 봐도 '저 녀석이 뉘집 얜지' 다 아는 것. 아버지는 크고 작은 머피의 법칙 등에 대해 보상을 해 오고 있었다.
문제는 이런 일이 생길 때마다 종아리를 걷어야 함으로 (내 잘못으로) 아버지가 점점 두려움의 대상으로 다가오는 것. 나의 이런 기억들은 사도세자와 영조대왕의 불편한 관계에 비교할 바가 못되지만, 정조대왕의 아버지 사도세자와 영조대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다. 수원 화성을 방문하게 되면 오래된 기억의 편린들이 되살아나며 영조대왕과 아버지를 꾸짖던 할머니의 얼굴이 떠오르는 것이다.
* 북서포루(北西砲樓)는 수원 화성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장안문과 화서문 사이에 시설된 화성의 5개 포루 중의 하나다. 북서포루는 검정 벽돌을 쌓아 치성과 같이 바깥으로 돌출시키고 내부는 나무판을 이용하여 3층으로 구획하였으며 포혈을 만들어 화포를 감추어 두고 위와 아래에서 한꺼번에 공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북서포루는 성밖으로 약 8.8m 돌출되어 있으며 지붕의 형태가 성 안쪽은 맞배지붕형태로 성 바깥쪽은 우진각 형식으로 된 게 특징이다.
수원 화성은 만추의 단풍으로 불타고 있었다. 북서포루와 어우러진 붉은 단풍잎을 보고 있자니 비장함이 깃든 것 같기도 했다. 어쩌면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대왕은 아버지의 죽음 이후 왕위에 오를 때까지 피눈물을 삼켰을 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러고 보니 화려하기 그지없는 만추의 단풍이 슬픔으로 다가오고 있는 것. 정조대왕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은 결국 정치적 문제로 귀결되며 아들을 뒤주 속에 가두고 만 것이다.
지금은 돌아가신 할머니께서 손자를 '무조건' 끔찍히 아끼고 사랑하셨던 이유 속에, 영조의 선택이 그 어떤 이유라도 정당화 될 수 없는 '미친짓'이나 다름없었다. 세상의 아버지들이 영조같은 판단을 내리면 살아남을 수 있는 새끼들이 몇이나 될까. 그것도 정치적 성향이 강하게 작용된 납득할 수 없는 결정은, 훗날 정조대왕의 개혁적 성향을 더욱 공고히 다졌을 것.
북서포루를 지나 장안문쪽으로 걸어가는동안 정조대왕이 수원 화성을 축조할 당시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는 지 짐작이 가고도 남았다. 권력을 두고 벌어진 당파싸움의 두 얼굴 속에서 사도세자가 꿈 꾸었던 일을 정조가 이어받고 있었던 것. 정조는 즉위한 즉시 윤음(綸音,임금의 말씀)의 첫머리를 이렇게 선포했다.
"아,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嗚呼, 寡人思悼世子之子也. 정조 즉위년(1776) 3월 10일)"
영조의 천륜을 어긴 판단이 정조대왕으로부터 확인되고 있는 것. 정조가 즉위할 때까지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해 입도 열지않은 채 숨죽이며 살아온 지난 세월이 그대로 묻어나는 윤음이었다. 정조의 시대가 열리고 있었던 것이며, 아버지의 불명예를 깨끗이 씻을 기회가 찾아든 것이다.
팔달산 회주도로를 따라 걸으며 서북각루에 도착한 이후 화서문으로부터 이어진 성곽을 따라 장안문 앞에 도착했다. 얼마전 막을 내린 제51회 수원화성문화제의 정조대왕능행차 연시에서, 수원화성의 정문이자 북문인 장안문을 통해 수원 화성을 들어서는 (비록 대역이긴 하지만)정조의 모습은 위엄이 넘치고 온유한 표정이었다.
즉위할 때까지 과정은 물론이거니와 한여름 날 아버지가 뒤주 속에 갇혀 죽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정조대왕. 할아버지 영조에게 매달리며 애걸복걸 했을 모습 등을 생각하면, 연산군처럼 즉시 보복에 나섰을 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러나 정조는 자기의 불행을 다른 방법으로 갚아나갔다. 오늘날 우리에게 효심 지극한 인자한 군주로 기억되고 있는 것.
이날 저녁, 연무대에 올라 동북공심돈을 바라보고 있었다. 사방은 칠흑같이 깜깜한 가운데 조명으로 밝힌 성곽이 아름답게 드러나는 밤이었다. 정조대왕은 아버지 장헌세자(사도세자)의 융건릉으로 행차에 나설 때 화성행궁에 들러 성곽을 걸었다. 그때 정조대왕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나는 할머니의 지극한 보살핌에도 불구하고 어른이 된 다음 아들 딸들을 엄하게 다스린 적 있다. 내 생각과 달리 녀석들에게는 가혹했을 매질도 몇 차례 있었다. 내 생애 가장 후회스러운 일이 있었던 것이다. 만약 당시 어머니께서 생존해 계시고 곁에 있었드라면, 할머니가 하셨던 구출작전(?)을 그대로 따라했을 것. 하지만 그분들은 모두 하늘나라에 가 계셨다.
*북암문에서 바라본 방화수류정(동북각루)의 야경이 너무 아름답다.
어느날 정조대왕께옵서 능행차에 납신 후 수원 화성을 걸으며 사색에 잠겼다면, 의당 아버지를 떠올렸을 것 같다. 또 아버지를 가혹함 이상으로 살해한 할아버지 영조의 얼굴도 동시에 떠올랐을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할아버지에 대한 원망이 식어갈 즈음 아버지는 또 얼마나 그리웠을까...그래서 자기를 낳아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보면 아버지를 보는 듯 했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언제 어떤 형편에 처해있드라도 피붙이는 그 어떤 이유로도 잊혀질 수 없고, 하늘 조차 가를 수 없는 숙명이다. 불현듯 할머니와 돌아가신 어른들이 생각난다.
* 자료 출처: 김범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著 <사도세자> 등
* 수원 화성 단풍 명소 관련 포스트 ➲ 수원화성,가을에 꼭 가보고 싶은 단풍 명소 / 수원화성,억새가 아름다운 역사적 명소 / 수원 화성의 만추 200배 즐기기 / 수원 화성,만추의 낮과 밤
'PHOTO 갤러리 > 도시락-都市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기다림 (1) | 2014.11.28 |
---|---|
[광교저수지]광교누리길에서 시선이 머문 곳들 (7) | 2014.11.28 |
수원 화성의 만추 200배 즐기기 (13) | 2014.11.24 |
그땐 가을비가 내렸어요 (2) | 2014.11.24 |
만추의 황홀경 (4) | 201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