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 나와 우리덜

화마와 사투 벌이는 소방수와 잿더미 화재현장

Daum 블로거뉴스
 


화마와 사투 벌이는 소방수  
-포이동 판자촌 화재현장 속으로, 제2편-


소방수들이 번지는 불길을 바라보고 있는 그림은
포이동 판자촌 화재현장 속으로 제 1편(화재현장에 소화전이 없어요)에서 본 장면이다.
소방수가 아닌 일반인의 입장에서 본 이 장면은 참 답답했다.



화마가 판자촌을 야금야금 덮치고 있는데 출동한 소방수들이 할 일이 없는 듯 보였기 때문이다. 포이동 판자촌을 빙 둘러 나 있는 도로 세군데에서 소방차가 물을 뿌리고 있었지만 불길을 잡기엔 턱없이 부족해 보였다. 소방차 한 대의 호스가 힘겹게 진화작업을 하고 있었다. 결국 화마는 약 2시간 이후 그림에서 보이는 장면 모두를 삼키고 잿더미로 만들고 말았다.


화마의 불씨는 어느덧 유독가스를 피해 이동하는 내 곁으로 바짝 다가오고 있었다. 그림은 화마가 기생하는 장면인데 지척에 포이동 판자촌의 역사를 지켜보고 있었던 버드나무 고목 까지 화마에 휩쓸리고 말았다. 화마가 목신 마저 삼키며 거세게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이미 포이동으로 진입하는 도로는 소방차로 꽉 막힌 상태였고 경찰에 의해 화재현장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었다. 나는 포이동 수양버들 고목의 동쪽 맞은 편에서 도로옆 작은 동산쪽으로 몸을 피하고 있었다.

 


그때 까지만 해도 위 그림 '포이동 판자촌 모습'이 모두 소실될 줄 몰랐다. 당시 화재현장은 검은연기에 휩싸여 판자촌 내부를 조망할 수 었었는데 작은 동산 아래 비오톱을 밟고 올라서니 불과 20여 미터 앞에서 화마가 판자촌을 서서히 삼키는 장면이 쉽게 목격됐다. 포이동 266번지는 1981년 이후부터 넝마주이,전쟁고아와 같이 오갈 데 없는 사람들을 정부가 강제 이주시킴으로써 마을이 형성되었는데 화마는 포이동 주민들에게 새로운 운명을 요구하고 있는 것 같았다.

서울 강남구 포이동 266번지 판자촌 화재사건 관련 포스트
서울 강남 포이동 판자촌 큰불 / 잿더미 '포이동 판자촌' 울타리 너머 사람들 / 
비장함 넘친 포이동 주민 진짜 뿔났더라 / 포이동 판자촌 화마火魔 기생 장면 / 화재현장에 소화전이 없어요



위 그림 '포이동 판자촌 모습'이 촬영된 위치 쯤에 도달할 즈음 또 한대의 소방차를 발견할 수 있었다. 소화작전은 마을 서쪽,동쪽,남쪽 세군데에서 진행되고 있었는데 이 소방차는 남쪽 '개포로 북30길'에 위치해 있었다.


나지막한 산기슭에서 유독가스를 피해 화재현장을 살피는 데 불길이 거세게 타오르는 장면이 쉽게 목격됐다.  불길은 조금전 내가 서 있던 장소 쪽으로 거세게 타오르기 시작했다.


판자촌을 순식간에 삼키고 있는 불길이 얼나나 거센지 산기슭 까지 뜨거운 열기가 느껴질 정도였다. 산기슭에는 어느새 방송사 카메라 기자가 화재현장을 담기 위해 접근하고 있었다. 또 작은 동산 숲 속에는 언제 나타났는지 이웃 마을 사람들이 삼삼오오 숲 속에서 숨죽여 화마를 지켜보고 있었다.


포이동 266번지 판자촌은 (애초 45명이 이주했으나,1986년 이후에도 상이용사 등이 계속 유입되어 현재 주민이 104가구.) 자활근로대라는 이름으로 경찰의 관리감독을 받아온 주민들은 툭하면 사회정화 차원에서 누명을 쓰고 유치장에 끌려가기가 일쑤였다고 전하고 있다. 1986년 포이동 200-1번지로 주민등록 등재를 해 놓았지만, 정부는 1989년 구획정리를 하면서 200-1번지를 266번지로 바꾸면서 시유지로 선정했다. 따라서 주민들은 주민등록이 말소되고, 다른 지역으로 주소를 변경해야만 했다.

포이동의 아이들은 길 건너에 바로 학교를 두고 먼 거리에 있는 학교로 통학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런 일은 약과였다.1989년 이후부터는 시유지 무단 점유를 명목으로 토지변상금이 부과되기 시작해 주민들은 각각 5.6000 만원에 달하는 토지변상금을 머리에 이고 살고 있다.


그 한恨 많은 역사가 한순간에 잿더미로 변하고 있는 화재현장에서 마을의 역사를 다 알고 있을 수양버들 고목으로 화마가 덮쳤다.


지난 2004년 6월 4일 새벽 4시경 가난과 질병에 내몰린 50대 넝마주이가 극한 상황을 견디다 못해 스스로 목을 매 자살한 사건이 있었다. 남편이 죽자 아내 조차 한달 후 목을 매 자살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병원비가 없어 산소호흡기에 의존해 집에서 투병생활을 하고 부인이 건물 청소부로 남편의 병치레를 보살펴 왔다. 생활보호 대상자로 지정해줄 것을 요구했지만 번번히 거절당했다. 돌볼능력이 있다는 이유로, 두 아들은 지난해 여름 자원 입대로 군 복무중이다. 부인은 "자식들에게 가난을 대물림하지 않겠다며 남편이 그토록 몸부림을 쳤지만 가난의 질곡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다.


 죽기 전 "사는게 너무 힘들다" "아들을 보고싶다." "마을 사람들은 "그 동안 동사무소를 방문해 김씨가 치료를 받들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몇 번이고 사정을 했지만 들어주지 않았다"면서 "막다른 골목에서 죽음을 선택할 수 밖에 없도록 방치한 책임이 개인적 자살이 아닌 국가적 타살"이라고 주장했다. "자기 부모도 지키지 못하고 나라를 지키라는 현실" "아버지가 죽었을 때 엄마가 직장다닌다는 이유로 엄마 마저죽고 없는 지금은 부양가족이 없다는 이유로 의가사제대가 안된다고 하더라" 부부가 두 아들에게 남긴 것은 가난의 대물림, 체납변상금, 상속포기를 원하는 절망뿐이다.<자료출처 포이동 266번지 http://www.kjcjkj.co.kr/>


그 안타까운 도시빈민들의 한 서린 판자촌이 원인미상(주민들은 방화로 심증을 굳힘)의 화마에 휩싸였고, 각종 선로가 얽히고 설킨 판자촌 지붕위에서  소방수들이 호스를 붙들고 화마와 사투를 벌이고 있었다. 평소 119 구급대원이나 소방수들을 존경해 온 터라 이들의 모습만 봐도 믿음직 스러웠다. 그들은 가장 어렵고 힘든 장소에서 우리 이웃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 온 사람들이다. 이날도 그러했다. 그런데 여기서 잠시 짚고 넘어가야 할 일이 생겼다. 포이동 판자촌 화재사건 당시 화재진압은 일반인의 생각과 많이도 달랐다. 그래서 그림 한 장을 더 첨부했다.

 


위 그림을 보면 포이동 판자촌 화재상황이 한 눈에 들어올 것 같다. 그림 속 '나'는 <소방차 1>에서 이동하여 현재 위치에서 화재현장을 카메라에 담고 있다. 겨우 바람방향을 따라 이동한 유독가스를 피해 포스트에 등장한 그림을 촬영하고 있었다. 앞 선 포스트에서 언급했지만  <소방차 1>은 소화전도 없는 화재현장에서 물이 부족한 듯 보여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것 같았다.

또 화마가 진행중인 방향으로 쏴 대는 가는 물줄기를 보니 역부족이라는 걸 실감할 수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나>의 위치에서 본 <소방차2>는 이해할 수가 없었다. <소방차3>이 이미 힘을 잃은 불길의 잔 불을 정리하고 있었는데 <소방차2>는 화마가 폭발적으로 타오르는 현장을 외면(?)하고 화마가 이미 지나친 위치에 물을 뿌리고 있었다.


이런 장면이다.


불길은 이미 <소방차2>를 통과하여 수양버들 고목쪽으로 무섭게 번지고 있었는데 그쪽은 무방비 상태였다.


맨 처음 포스트 그림에 등장한 화마가 기생하는 장면 근처에 화마가 급습하고 있는 장면이다. 고목에 불이 붙기 시작했다.


그런데 화마와 사투를 벌이던 소방수들은 여전히 불길이 잦아든 위치에서 물을 뿌리고 있었다. 참 이해할 수 없는 모습이었는데 다음날 기자회견 당시 이곳 위치를 카메라에 담아 보니 아래와 같은 모습이었다.


그땐 몰랐다.

그러나 하룻밤 사이 잿더미로 변한 현장을 다시 찾아가 보니
두 소방수들이 사투를 벌인 장소는 이렇게 변해있었다.
아무런 득이 없었다는 말이다.


당시 두 소방수가 사투를 벌이며 화마와 싸우고 있는 뒷편에서는 소방수와 마을 사람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LPG 가스통을 나르고 있었다.


혹시라도 폭발할 수 있었던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있었지만, 판자촌의 화력은 LPG 가스통을 폭발시킬 위력은 되지 못했다.


금번 포이동 판자촌 화재사건은 정부와 서울시나 강남구 등 이 마을과 관련이 있어야 할 우리 이웃들이 무관심으로 이 마을을 고립한 결과가 아닐까. 전쟁터에 나가면 지피지기 하여 이길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 놓고 전투에 임해야 했건만, 이날 출동한 소방차 내지 소방헬기 등은 우왕좌왕 하거나 소극적인 대처를 할 수 밖에 없는 안전사각지대와 무모한 싸움을 벌였던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서울에 소화전을 갖추지 못한 사람사는 동네가 있었다. 제 아무리 용맹한 장수라 할지라도 적(화마)을 제압할 수 있는 그 어떤 무장도 하지않은 채 불길에 뛰어든 것이라면 결과는 뻔 한 게 아닌가. 선진 대한민국, 문화서울, 디자인 서울, 대한민국에서 제일 잘 산다고 하는 강남구 양재천 변에 우리가 외면한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그들은 우리 이웃이었다. <계속>



내가 꿈꾸는 그곳의 PhotОтправить сообщение для Марта с помощью ICQ 이야기

베스트 블로거기자Boramirang


  SensitiveMedia 세상에서제일 작고강력하며너무 따뜻~한 Media 내가 꿈꾸는 그곳    
 www.tsori.net / Boramirang 내가 꿈꾸는 그곳.

Daum 검색창에 내가 꿈꾸는 그곳을 검색해 보세요. '꿈과 희망'이 쏟아집니다
 
반응형